교도소 수감자도 건강보험 적용될까?

  • 등록 2025.02.12 16:58:26
크게보기

2003년, 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A 씨는 “교도소에 수감 중인 재소자라 하여 의료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국가를 상대로 건강보험 급여 지급 청구 소송(2003구합28566)을 서울행정법원에 제기했다.


A 씨는 소장에서 “수용자가 자비로 부담할 때만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부당하다. 국가는 수용시설 수용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건강보험 급여 대상을 제한한 국민건강보험법 제49조 제4호는 위헌”이라며 위헌심판제청도 함께 냈다.


그러나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국가로부터 무상의료급여를 받는 수용자에게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하는 것은 불필요할 뿐 아니라, 수입이 차단된 수용자에게 계속 보험료 납입 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시했다.


이 판결을 근거로, 현재까지도 교도소 및 구치소 수감자의 건강보험 적용 여부에 대해 인터넷 블로그나 카페 등에서 잘못된 정보가 공유되는 경우가 많다.


2005년 12월 31일 이전까지는 수감자가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이거나 피부양자 자격이 있더라도 수용시설에 입소하는 순간 건강보험 급여가 정지되고 치료비를 전액 부담해야 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수용자 인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가 시작되면서 2004년 6월 미결수용자에게 보험급여를 제공하는 법안이 발의되었고, 정부는 법무부와의 협의를 거쳐 기결수까지 포함한 전체 수용자를 대상으로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2006년 1월 1일부터 공단 부담금은 법무부(소속기관)에서 부담하고, 법무부가 공단과 정산하는 방식으로 법이 개정되었다.


단, 건강보험 적용 대상자는 건강보험 자격이 있는 자 또는 있었던 자에 한정되며, 외국인이나 건강보험 가입 기록이 없는 재외국민은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다.


건강보험 적용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감자들의 의료 접근성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


외부 병원 이용이 제한적이며, 특정 질환의 경우 신속한 진료가 어려운 점이 주요 문제로 지적된다.
법적으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만, 실제로는 교정시설 내 의료 환경이 열악해 제대로 된 치료를 받기 어려운 현실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다.


수용자의 의료권 보장을 위한 실질적인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채수범 기자 cotnqja1111@gmail.com
Copyright @더시사법률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