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2024년도 상반기 직업훈련으로 목포교도소 목공 인테리어 과정을 수료한 수용자입니다.
직훈신청 시 유의 사항
직업훈련 제도의 취지는 출소 후 자격증을 취득해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데 있지만, 실제로 이런 목적으로 직업훈련을 신청하는 수형자는 극소수입니다. 그래서 6개월 과정에는 형량이 얼마 남지 않은 분들이 많고, 1년 이상 과정에는 형량이 많이 남은 분들이나 장기, 무기수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6개월 과정 사람들이 불성실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고 직업훈련 신청을 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자격증 취득 전에 중도 포기하면 처우상 불이익은 물론 다음 직업훈련 신청도 힘든 경향이 있고, 본소 환소가 원칙인 점 외에도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자격증 취득
목포교도소의 목공 인테리어 과정을 통해서는 ‘건축목공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는데, 이 과정이 대구교도소와 목포교도소 단 두 곳밖에 없어서 지원자가 매우 많습니다. 자격증을 위한 필기시험은 없지만 나름 취득 난이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습 과정
제가 경험한 목공 인테리어 과정은 말 그대로 목공 과정과 인테리어 실습, 두 가지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내장 목수가 하는 일인 단열재 공사를 직접 시공해 보는데, 선발인원이 24명이라 모두 해보진 못하고 해보고 싶은 사람들이 자진해서 먼저 해보는 상황입니다. 그러니 할 수 있는 상황이 오면 망설이지 않고 해보시길 바랍니다. 단열재 공사 후엔 페인트 시공을 하는데, 마찬가지로 자진해서 먼저 한다고 하시길 바라고, 그 후엔 몰딩 같은 것도 붙이는 과정을 5월까지 합니다.
자격증 과정
실습 후에는 본격적으로 자격증 과정에 들어가는데, 자격증 과정은 도면(현치도)그리기, 먹금(자르는 선 등을 나무에 그리는 것) 넣기, 톱, 끌, 대패 등의 도구를 이용해 나무 가공하기, 가공한 나무를 못을 이용해 조립하기의 순서이고, 시험 시간은 5시간입니다.
채점은 현치도 그리기부터 들어가고 오차범위는 ±3cm까지입니다. 성실하게만 하면 절대 떨어질 일은 없지만 확실히 어려운 과정이었습니다. 직업훈련에는 봉사원(반장)1명, 보조원(조교)1명 +α, 기능공(기능대회 나가는 사람) 이렇게 있고 이분들과 선생님 한 분이 가르쳐주시는데, 알려주는 대로만 하면 어떤 과정이든 무조건 합격할 수 있습니다.
훈련 과정 후기
직업훈련도 징역을 사는 것이라 남들 출역할 때 똑같이 출역하고, 남들 입방할 때 똑같이 입방합니다. 중도 포기하면 징벌 가는 것도 똑같습니다. 그러니 생활을 잘하시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직업훈련을 하면 확실히 시간도 잘 가고 사회에서 관련 직종을 하던 분들도 많이 있어서 배울 점이 매우 많습니다. 그러니 징역을 살면서 뭐라도 배우고 나가자 하시는 분들은 꼭 직업훈련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취득한 자격증은 출소 시 허그 일자리 프로그램과 연계되어서 취직에도 도움이 됩니다.
목포교도소 환경
목포교도소에서 어려웠던 점은 교도소 근처에 왜가리 군락이 있어서 사동에 냄새가 좀 난다는 점입니다. 밥은 맛있는 반찬도 몇 가지 있지만 평범한 편입니다.
목포교도소는 3·4급 교도소여서 다소 규율이 엄격하지만, 직업훈련생들에게는 비교적 유연한 편입니다. 예를 들어, 시험이 다가오면 스티커 3장을 받아도 봐주는 경우가 있었고, 실제로 3개월 이내에 스티커 6장을 받고도 과정에서 제외되지 않은 사례도 있었습니다. 또한 목포교도소는 기계 설비가 매우 많으므로, 직업훈련을 받는 동안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