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수의 ‘갑질’ 피해를 호소한 전남대학교 대학원생이 숨진 사건을 두고 국정감사장에서 전남대의 책임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교수 개인의 일까지 떠맡았던 정황이 드러나며 대학 내 ‘위계형 착취 구조’에 대한 제도적 개선 필요성도 제기됐다.
22일 전북대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7월 전남대에서 갑질 피해를 호소하고 숨진 학생의 메모에는 4개 연구과제의 행정업무를 떠맡고, 교수의 골프대회 준비와 칠순잔치 현수막 제작 같은 사적 일을 수행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총장이 진상조사했다고 하지만 가해자로 지목된 계약직 연구교수에게 규정에 따라 2학기 수업을 배정해줬다”며 “대학원생을 값싼 노동력이나 개인 비서로 취급하는 관행이 여전히 만연하다”고 성토했다.
같은 당 진선미 의원 역시 “대학원생의 문자메시지를 보면 인건비 회수와 계좌 관리, 부당한 업무지시가 반복됐다”며 “교수 배우자 명의의 페이퍼컴퍼니 일까지 학생에게 시켰다는 건 학문 공동체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사건은 단순한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대학 조직문화의 문제”라며 “지도·연구교수 상급자들의 갑질에서 비롯된 것인데 단순히 억울한 죽음으로 유야무야 될까 유족들은 불안해 한다. 철저한 조사와 강력한 징계를 통해 유사 사례를 근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근배 전남대 총장은 “해당 사건의 진상조사를 이달 말까지 마무리하고 연말까지 징계 절차를 마치겠다”며 “우리 대학은 갑질, 성비위, 음주운전 등 모든 비위 행위에 대해 엄격히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지난 7월 13일 전남대 기숙사에서 대학원생이 숨진 채 발견되면서 알려졌다. 유서에는 연구실 내 교수 2명으로부터의 갑질, 업무 과중으로 인한 고통이 구체적으로 적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두 교수는 현재 경찰 조사를 받고 있으며, 한 명은 입건된 상태다.
전남대는 진상조사위원회의 최종 보고서를 받은 뒤 인권센터와 감사센터를 통해 징계 수위와 후속 조치를 결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