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대통령, 보석 호소…“1.8평 방에서 생존 자체 힘들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건강 악화를 이유로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대통령경호처를 동원해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 등으로 추가 구속 기소된 윤 전 대통령은 26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5부(부장판사 백대현) 심리로 열린 보석 심문에서 직접 발언에 나섰다.

 

윤 전 대통령은 “구속 이후 1.8평 방 안에서 생존 자체가 힘들었다”며 "제가 변호인을 접견하는 이유는 왔다갔다 자체도 하나의 운동이기 때문"이라고 입을 뗐다.

 

윤 전 대통령은 “특검은 불필요한 증인을 무더기 신청하며 재판을 질질 끌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구속 상태에서는 주 4~5일 재판에다 특검 조사까지 감당할 수 없다”며 “차라리 처벌을 받고 싶은 심정이지 재판을 끌 의도는 없다”고 덧붙였다.

 

특검 조사 불출석 사유도 언급했다. 윤 전 대통령은 “조서가 질문도 이상하고 답도 이상해 일일이 고치느라 조사 후에도 조서를 읽는데 7시간이 걸렸다”며 “그래도 검찰 출신이라 진술을 거부하지 않았지만, 이제는 거부해야겠다 생각햇다”고 말했다. 이어 “아내까지 기소돼 재판을 병행해야 하는데 구속 상태에선 불가능하다”고 호소했다.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도 보석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계리 변호사는 “특검이 쪼개기 기소로 전직 대통령을 구경거리로 만들고 있다”며 “이는 정치 보복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또 “피고인은 당뇨병과 황반부종 등으로 실명 위험이 있는 상태인데 구속으로 정상적인 치료와 식사조차 어렵다”고 말했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자신의 수사도 언급했다. 윤 전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 때는 제가 중앙지검장으로 했었지만 이렇게 검사 120명씩 한 게 아니라 공소사실을 좁혀서 했다"며 "200명 검사가 오만 가지를 가지고 기소하는데 정말 유치하기 짝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판 알아서 진행하시고 차라리 처벌을 받고 싶은 심정"이라며 "불구속 상태에서 협조 안 한 것이 없다. 지금 절차가 워낙 힘들어서 보석을 청구한 것이지, 재판을 왜 끌겠나"라고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은 계속 구속 상태가 유지되면 출정을 거부할 것이냐는 재판부의 질문에는 "거부라기보다 원활하게 하기에 체력적으로 많이 힘들다"며 "현실적으로 일주일에 몇 회씩 하는 건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답했다.

 

반면 특검은 강하게 반발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보석될 경우 증거 인멸과 증인 회유 가능성이 크다”며 “이미 사건 관계인 회유 정황도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학의 전 법무차관, 조현천 전 기무사령관 사례처럼 도주 우려도 높다”며 “교정 당국 의료체계로도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재판부는 이날 보석 심문 중계 신청도 불허했다. “재판 1회 공판이 중계돼 국민 알 권리는 이미 보장됐고, 보석 절차는 사생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며 공익성이 크지 않다고 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