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캄보디아 취업 사기’…지방 청년 노린 인신매매 조직 확산

“월 1000만원 보장” 허위 구인광고
‘지인 소개’ 통한 유입도 계속 늘어

 

지난 8월 대학생 박모 씨(22)가 캄보디아에서 납치·감금돼 고문 끝에 숨진 사건이 알려진 뒤, 전국 각지에서 유사한 피해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피해자 상당수가 지방 거주 20~30대 청년으로 확인되면서, 취업난에 내몰린 지방 청년층이 해외 취업 사기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경찰에 따르면 광주·경북 상주·충북 등 전국에서 “가족이 캄보디아로 출국한 뒤 연락이 끊겼다”는 신고가 연이어 접수됐다.

 

현재 확인된 인원은 △경북 2명 △전북 6명 △충북 3명 △강원 4명 △대구 3명 △광주 3명 등으로, 대부분 해당 지역 거주 청년층으로 파악됐다.

 

숨진 박 씨 역시 경북 예천 출신의 충남 소재 대학생으로, 지난 7월 “취업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출국했다가 변을 당했다. 조사 결과, 같은 대학 선배의 소개로 캄보디아로 향한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의 조직들은 ‘고수익 아르바이트’, ‘숙소 제공’ 등을 내세워 정상적인 해외 취업처럼 위장한 범죄 조직이다.

 

외교부는 11일 설명자료를 통해 “캄보디아 내 우리 국민의 피해가 급증한 근본 원인은, 현지 온라인 스캠센터에서 일하는 우리 국민이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고수익 일자리라는 허위 정보에 속아 현지 범죄조직에 유입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구인글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를 통해 쉽게 확인 가능하다 “월 1000만원 이상 가능”, “숙소 제공”, “좋은 회사” 등의 문구가 공통적으로 등장하며, 학력·경력 등은 전혀 요구하지 않는다.또한 “금전적으로 간절하신 분”, “돈 욕심 많은 분”을 지원 자격으로 명시하는 등 경제적 취약계층을 노린 구조적 유인이 드러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허위 채용 광고가 스펙 부족·지방 거주 청년층의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며 “단순 알바 모집이 아니라 조직적 인신매매 구조로 진화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법률사무소 로유 배희정 변호사는 “최근 해외 취업을 미끼로 한 납치·감금 사건은 단순 사기가 아니라 조직적 인신매매 범죄로까지 발전하고 있다”며 “여권을 타인에게 맡기거나, 구체적 고용계약서 없이 출국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이어 “SNS나 커뮤니티를 통한 ‘고수익 알바’ 제안의 상당수는 불법 리딩방·도박사이트 운영·전자금융사기 조직과 연결된 경우가 많다”며 “지인이나 대학 선후배의 소개라도 반드시 고용주 신원·회사 주소·비자 유형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