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7개 차단 시스템 중 551개 내일 재가동… 정부 복구 총력

전산실 피해 70개→96개로 정정
온나라시스템 멈춘 정부 업무…
정부 “국민 신뢰 회복 목표”…

 

정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중단된 행정정보시스템 복구에 본격 착수했다.

 

전체 647개 차단 시스템 가운데 우선 551개를 단계적으로 재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과 김민석 국무총리도 현장으로 이동해 복구 상황을 직접 점검한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오후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피해 상황과 복구 방안을 논의했다. 중대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관계 부처와 협력해 상황총괄반, 업무연속성반, 장애조치반을 운영하며 현장 대응에 집중하고 있다.

 

화재가 발생한 전산실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 반출 작업이 진행되면서 복구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이날 중 항온·항습기 복구를 완료하고 내일까지 네트워크 장비를 정상화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안전을 위해 차단했던 647개 시스템 중 551개를 단계적으로 재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윤 장관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국민 안전과 재산 보호, 경제활동에 직결되는 필수 시스템부터 정상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이번 대응 목표는 단순한 업무 재개가 아니라 국민 신뢰 회복”이라고 강조했다.

 

피해 규모도 새로 확인됐다. 직접 피해를 입은 7-1 전산실 내 시스템은 96개로, 당초 발표된 70개보다 늘어났다. 행안부는 “현장 진입 제한으로 초기 집계에 착오가 있었다”며 정정했다. 이들 피해 시스템은 대전센터 대신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 복구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피해 시스템 수가 늘었지만 차단했던 전체 647개 시스템 수에는 변동이 없다”며 “이 가운데 551개는 내일부터 단계적으로 정상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나머지 90여개는 실제 가동 여부 점검이 필요해 내일까지 복구가 될지는 불투명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