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시아누크빌과 국경지대 일대의 범죄단지들이 여전히 활발히 운영되며 한국인을 상대로 한 범죄를 이어가고 있다는 내부 근무자들의 증언이 나왔다. 현지 경찰과 범죄조직의 유착이 여전해 단속이 ‘형식적’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2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시아누크빌 일대 범죄단지의 절반 이상은 단속 이후 비어 있지만, 일부 단지에서는 여전히 한국인으로 구성된 ‘한국팀’이 활동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조직은 20명 이상이 함께 움직이는 대규모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A씨는 “단속이 사전에 공유되거나 근무자 이동 시간대에 맞춰 검문이 해제되는 경우가 많다”며 “보여주기식 단속일 뿐 실제로는 아무도 건드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경찰과의 관계만 잘 유지하면 유치장에서 나오는 것도 어렵지 않다”며 “1만~2만달러만 주면 풀려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지 사정에 밝은 관계자들은 “캄보디아 경찰과 범죄단지의 유착 고리가 여전히 견고하다”며 “이 구조가 깨지지 않는 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는 계속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실제 딥페이크를 이용한 로맨스스캠으로 120억 원을 가로챈 한국인 부부가 현지 경찰에 체포됐지만, 반년 넘게 송환되지 않고 있다. 두 사람은 지난 2월 체포됐다가 6월 한 차례 석방됐고, 7월 말 우리 법무부의 요청으로 재체포됐으나 송환 협의 지연으로 다시 풀려났다.
캄보디아 국경지대 범죄단지에서 일하는 B씨는 “대형 단지는 국가 차원에서 보호받는다”며 “단속 전날 주요 인력들이 모두 빠져나가는 건 공공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한국 경찰 관계자는 "캄보디아에서 사람이 다 빠졌으면 한동안 조용해야 할 텐데 여전히 보이스피싱 신고는 계속 들어온다"라며 "피싱 콜센터는 경찰 공권력이 부패한 후진국에 머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