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3 대선이 2주도 남지 않은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김문수 국민의힘·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의 '1강 1중 1약' 구도가 유지되고 있다.
여기에 후보 발(發) 설화 리스크와 범보수 통합 등이 지지율 막판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민주당은 21일 비공개 선대위 회의에서 이 후보의 예상 득표율이나 낙승을 언급하지 말 것을 재차 강조했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가 과반 이상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지만, 당 지도부는 '오만 프레임'과 '입 리스크'를 경계하며 내부 기강 관리에 주력하고 있는 모양새다.
박찬대 상임총괄선대원장은 전날(20일)에도 당 전체에 선거 예상 득표율, 낙승 언급 시 징계를 포함해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는 취지의 긴급 지시사항을 내린 바 있다.
당 선대위는 이 후보의 즉흥 연설이 불필요한 논란을 키울 수 있다고 보고 발언 분량과 수위 조절도 조언하고 있다. 현장 분위기가 과열되면서 불필요한 논쟁이 유발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이 후보는 직접 논란에 대응하면서 리스크를 정면돌파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의힘은 보수 재결집을 노리고 있다. 최근 홍준표 전 대구시장과 전병헌 새미래민주당 대표, 한덕수 전 총리와 접촉하면서 동력을 잃어가던 '범보수 통합' 재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의 극적 단일화를 이룬다면 지지율 반등을 노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이 후보가 완주 의사를 거듭 밝혀온 데다, 단일화가 성사되더라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반감이 큰 이 후보 지지층이 김 후보를 지지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김상욱 전 국민의힘 의원과 개혁신당 출신의 허은아·김용남 전 의원 등 보수 인사를 품으며 지지세를 넓히고 있다. 아울러 '어차피 이재명'이라는 인식이 자칫 투표율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투표율 독려에 매진하고 있다.
더시사법률 최문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