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튜브 방송을 통해 교정시설 수감자들 사이에서만 유통된다는 책의 실체가 공개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0일 유튜브 채널 ‘취재대행소 왱’에는 “감옥에서만 본다는 책의 내용은 뭘까?”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서는 ‘옥중비급’이라는 책이 교도소 내부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으며, 정식 ISBN 등록까지 마쳤음에도 일부 콘텐츠가 외부 자료를 그대로 활용한 것으로 보여 저작권 침해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소개됐다.
영상에 따르면 ‘옥중비급’은 교도소 내에서 가장 많이 찾는 책으로 알려졌다. 유튜브 쇼츠, 댓글, 합성 이미지 등을 종이로 옮겨놓은 형태로, 인터넷 접속이 차단된 환경에서 외부 미디어 접근이 불가능한 수용자들에게 ‘유일한 인터넷 구경 수단’처럼 기능하고 있다는 것이다.
겉표지는 검은 바탕에 앉아있는 남성 실루엣이 이미지가 인쇄돼 무협지 같은 분위기를 풍기지만, 첫 장을 넘기면 잘생긴 남성이 베트남 길거리를 걸어가는 사진, 일본 애니메이션 ‘이누야샤’ 실사 버전 이미지 등이 등장한다. 온라인 커뮤니티 방식의 짧은 밈과 짤, 댓글을 그대로 인쇄한 구성도 눈에 띈다.
이 책은 수감자들 사이에서 일종의 ‘공동체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넷이 차단된 환경에서 영상·짤 기반 콘텐츠를 종이 매체로 접할 수 있다는 점이 인기를 끄는 이유다. 실제로 교도소에 가족이 수감된 사람들의 커뮤니티 ‘안기모’ 카페에서도 “옥중비급 책 좀 구하는 방법 없냐”는 문의가 꾸준히 올라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제작자는 1인 출판 방식을 통해 두 달에 한 권꼴로 책을 발간하며, 매회 500부 내외만 인쇄해 희소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서점에서는 이미 대부분 품절됐고, 일부 지역 서점에서 단 한 권 남은 재고를 찾는데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책을 만드는 출판사 대표는 과거 교정시설에 수감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방송에서는 해당 책이 ‘교정시설 내에서 거의 유일하게 대중문화를 접할 수 있는 창구’라는 점도 언급됐다. 스마트폰 세대인 수용자들에게는 짤과 댓글 형식의 내용이 일종의 ‘사회와의 연결감’으로 작동하며, 심리적 안정·정보 공유·공동체 의식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다만 책에 실린 일부 콘텐츠는 출처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저작권위원회는 해당 책에 대해 “제작자와 협의되지 않은 사진·영상 사용은 분쟁 소지가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또한 ISBN은 출판물을 식별하기 위한 절차일 뿐, 내용의 적정성이나 저작권 여부를 심사하는 장치는 아니라는 점에서 제도적 한계가 존재한다.
실제 ISBN 제도의 허점을 악용한 사례도 이미 존재한다. 정체불명의 제3자가 법원에 제출한 반성문들을 ‘안기모’ 운영자가 복사해 책처럼 묶은 뒤 ISBN을 등록하고 스티커를 붙여 정식 서적으로 둔갑시킨 후 일부를 전국 교정시설에 반입한 사례다.
법조계에서는 교정시설 내 도서 반입 과정에 대한 관리·검증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교정 관계자는 “수용자들이 외부 정보를 접하는 과정에서 저작권이나 출처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